윈도우7 만능고스트 제작 / 활용하기
컴퓨터를 사용하시다 보면 최소한 한번 이상은 포맷 - 운영체제 재설치 과정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. 그런데 운영체제 설치하며 자신이 꼭 사용하는 필수 프로그램 설치 등등 그 시간적 소요가 장난이 아니죠. 이런 부분 때문에 포맷 - 재설치 과정을 막막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. 그런데 이런 과정을 5~10분 사이에 해결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? 일명 '만능고스트' 로 이것이 가능합니다. 보통 A/S 기사분들이 순식간에 OS 를 설치해줄 때보면 요 녀석을 많이 활용하시죠 ^^;;;
사실 예전에 이미 윈도우7 만능고스트 제작 방법[참고]에 대해서 소개드린 적 있었는데요. 이번에는 약간 응용해서 VHD 만능고스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. 같은 내용이긴 하지만 관련해서 질문 주신 분이 계셔서 덧붙일 내용도 있고하여 추가로 포스팅 합니다. 기본적인 방법은 같아서 VHD 가 아닌 물리적 하드디스크에 설치되는 만능고스트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하실 수 있습니다.
OS 설치와 동시에 '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도록' 이라는 전제만 아니라면 윈도우7 VHD 만능고스트 제작은 상당히 수월합니다. 윈도우7 DVD 내에 있는 "Install.wim" 파일을 VHD 로 변환해주면 됩니다. 이 과정을 도와주는 유틸도 있구요. 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...
> Link : Install.wim 으로 VHD 생성하기
윈도우7 만능고스트 만들기 - 감사모드 진입
만능고스트를 만드는 과정은 VMWARE 와 같은 가상 머신을 이용하실 것을 권합니다. 그 이유는 일반화 작업 과정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스냅샷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할 수도 있고, 작업 중간에 잘못되더라도 위험 부담이 거의 없으니까 말이죠. 아래 과정들을 위한 VMWARE 에서의 설정 등은 위 참고 링크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. 여기서는 윈도우7 을 VHD 로 설치하는 과정은 아신다는 가정하에 설명할텐데요. 모르시는 분은 ☞ 여기로 들어가셔서 1번 소제목의 내용을 참고보세요.
▼ 설치 과정 중 아래 단계에 이르르면, [Ctrl + Shift + F3] 를 눌러서 감사 모드로 진입합니다.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.
▼ 재부팅 후 네트워크 선택창에서 [취소] 클릭
▼ 시스템 준비 도구창에서 [취소] 를 클릭해 주세요.
윈도우7 만능고스트 만들기 - 프로그램 설치
지금부터 자신에게 필수 프로그램들을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. 여기서 필히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. 만능고스트 제작의 성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인데요. 예전 글에서도 잠시 언급했던 부분이긴 한데... 프로그램들 중 몇몇은 이 일반화 작업을 실패로 이끌어 주십니다 ^^;;; 정확히 그 목록들이 소개된 건 없는걸로 아는데 많은 분들이 실패를 겪었던 프로그램들을 하나하나 소개(?)해 주시다보니 대략적인 틀은 잡혀 있습니다.2. VMWARE 등과 같은 가상 머신은 설치하지 마세요!
3. 카스퍼스키, 노턴 등 백신은 설치하지 마세요!
4. 데몬 등 가상 CD 프로그램은 설치하지 마세요!
5. 윈도우 업데이트를 설치하지 마세요!
위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"시스템 구성을 마칠 수 없습니다" 문구가 반복되며 무한 재부팅 또는 일반화 봉인 작업에 실패한다고 합니다. 이 외의 다른 프로그램들도 앞서 말씀드린 문구 등을 보이며 일반화 작업을 실패로 만들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위에서 제가 VMWARE 의 스냅샷 등을 이용하시면 좋다 말씀드린 겁니다. 일반화 작업을 처음해 보시거나 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유틸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분들은 프로그램 설치 전 단계에서 VMWARE 의 Snapshot 기능을 이용해 저장을 해두시는 것을 권합니다. VMWARE 메뉴에서 VM - Snapshot - Take Snapshot 을 선택하시면 됩니다.
다음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.
2. 시스템 재시작을 요구하는 경우 나중에 재시작 등을 선택, 마지막 단계까지 재시작하지 마세요.
▼ 아래는 제가 필수프로그램이라 생각되는 녀석들을 설치한 장면입니다.
바탕화면에 아이콘이 보이게 한건 일부로 보여드리려고 한거니까 굳이 저렇게 따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^^ 프로그램을 설치하셨다면 이제 거의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. 설정을 완료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체크하셔야 할 것이 있는데요. 이 부분이 예전 글에서 누락되어 있어 질문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. 위 처럼 프로그램을 설치 완료하면 특정 프로그램은 사용자 환경에 프로그램과 아이콘이 저장되게 됩니다. 그럼 어떻게 되느냐... 일반화 작업 과정에서 그 녀석들이 사라지게 됩니다. 그래서 수동으로 옮겨주는 과정을 거치셔야 합니다.
아래 경로들은 폴더 옵션에서 '숨김 폴더 및 파일을 보이게 설정' 하셔야 찾으실 수 있습니다. 먼저, 바탕화면의 아이콘에 대한 작업입니다.
▼ "C:\Users\Administrator\Desktop" 이동 - 설치한 프로그램 아이콘 '잘라내기'
▼ "C:\Users\Public\Desktop" 이동 - 공용 폴더의 바탕화면에 '붙여넣기' 합니다.
다음으로, 프로그램 그룹의 경로를 공용 환경으로 옮겨 줍니다.
▼ "C:\Users\Administrator\AppData\Roaming\Microsoft\Windows\Start Menu\Programs" 이동 - 설치한 프로그램 폴더들을 선택 - "잘라내기"
▼ "C:\ProgramData\Microsoft\Windows\Start Menu\Programs" 이동 - 잘라낸 폴더를 '붙여넣기'
※ 같은 녀석이 있으면 덮어쓰셔도 됩니다.
위 작업을 해주시면 만능고스트를 연결해서 설치하더라도 아이콘이 사라지거나 프로그램 그룹이 사라지는 경우는 없을 겁니다.
윈도우7 만능고스트 만들기 - 일반화 봉인
마지막으로 일반화 작업을 봉인해 주시면 끝!!!▼ 실행창(윈도우키 + R) - "C:\Windows\System32\sysprep\sysprep.exe" 입력 - 확인! 주소가 길어서 어려워 보이실지 모르나 입력하다보면 자동 완성이 됩니다.
▼ 시스템 준비 도구창이 다시 나타날 겁니다. [OOBE(첫 실행 경험), 일반화 체크, 시스템 종료] 를 선택 - 확인
확인 버튼을 누르면 잠시 작업 중 막대 그래프가 지나다가 시스템이 종료될 겁니다. 그럼 작업하신 VHD 를 VMWARE 에서 꺼내와서 잘 보관하시면 됩니다. 어떻게 꺼내냐고 묻는 분이 계실 듯 하여... ☞ 여기로 이동하셔서 VMWARE 에서 MAP 기능을 활용하는 부분을 참고하세요. 직접 만든 만능고스트가 제대로 작동 되는지 테스트 해보실 분들은 VHD 를 복사 - 연결해서 부팅해보시면 되겠죠? 설마 이 과정에서 작업한 만능고스트 VHD 원본을 그대로 연결하진 않으시겠죠?? ^^;;;
덧> 위 과정처럼 VHD 만능고스트를 제작했다가 해당 VHD 를 ISO 이미지 파일로 만들었는데 설치가 안 된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더군요. 이 포스팅을 하게 된 이유 중 또 한가지가 바로 이 부분인데요. 내용은 참고할 분만 보시라고 접어두었습니다.
사진과 글로 설명을 하여 내용이 길어보여서 그렇지 실질적으로 위 과정들을 작업해 보시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크게 어렵지 않을 겁니다.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꼭 VHD 가 아니더라도 ISO 등으로도 제작 가능합니다. 하나 만들어서 잘 보관해 두시면 유용하게 써먹을 날이 있을 듯 하네요 ^^